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왜 해안가 식물은 잎이 두껍고 반짝일까?
    식물 스터디 2025. 6. 23. 12:13
    반응형

    왜 해안가 식물은 잎이 두껍고 반짝일까?

     

     

    바닷가를 걷다 보면 문득 이런 생각이 든 적 있지 않으셨나요?

     

    “왜 이 근처 식물들은 잎이 유난히 두껍고 반들거릴까?”

    “모래바람에도 끄떡없는 저 강인함은 대체 어디서 나올까?”

     

    해안 산책길에서 마주친 갯질경이, 해국, 갯패랭이꽃을 촬영하다가 저도 같은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직접 조금 더 들여다봤습니다.

    과연 바닷가 식물들의 잎에는 어떤 생존 전략이 숨겨져 있을까요?

     


     

    🌊 바닷가 환경은 식물에게는 '극한의 조건'

    해안가 식물이 살아가는 조건은 생각보다 거칠고 척박합니다.

    • 강한 바닷바람
    • 짠물과 염분
    • 뜨거운 햇빛과 건조함
    • 불안정한 모래·자갈 토양

    사람으로 치면 매일 모래바람 맞으며 소금기 있는 공기 마시며 일하는 환경인 셈이죠.

    그 속에서도 잎을 피우고 꽃을 피우는 해안 식물들!

    이들은 그 환경에 딱 맞게 진화한 ‘생존 마스터’입니다.


     

    🌿 잎이 두껍고 반짝이는 이유

    1. 수분을 아껴야 하니까 — 두꺼운 잎

    해안가 토양은 물 빠짐이 너무 좋아서 뿌리에 수분이 오래 머무르지 않아요.

    그래서 식물은 잎을 두껍게 만들어 수분 저장고처럼 사용합니다.

    또한, 표면적을 줄여 **증산작용(수분 증발)**을 줄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예시: 갯질경이, 해국, 갯완두


    2. 햇빛을 튕겨내야 하니까 — 반짝이는 왁스층

    여름 바닷가는 뜨겁고 강한 자외선이 직빵입니다.

    잎 표면에 반짝이는 왁스층이나 은색 털빛을 반사시켜 내부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해요.

    예시: 갯패랭이꽃, 갯까치수염, 해당화 잎


    3. 소금기에도 견뎌야 하니까 — 특수한 피부

    공기 중에 포함된 소금 입자도 식물에겐 치명적입니다.

    하지만 해안 식물은 잎 표면에 소금기를 흘려보내거나, 견디는 세포막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일부 식물은 아예 **소금을 밖으로 뿜어내는 구조(염분샘)**까지 갖고 있답니다.

    예시: 칠면초, 나문재, 갯메꽃


     

     

    📷 사진 찍는 눈으로 다시 본 해안 식물

    카메라 뷰파인더로 보면 그 반짝임과 투박한 질감이 더 도드라집니다.

    그것이 바로 살아남기 위해 선택한 질감이라는 걸 알게 되면,

    그저 아름답다는 감상에서 한 발 더 나아가게 되죠.

    해국의 잎을 확대해서 보면 마치 왁스칠한 것처럼 반들거리고,

    갯질경이의 잎은 한 손가락 길이만 하지만 단단하고 통통합니다.

    그 모든 디테일은 이 환경에서 살아남겠다는 의지의 흔적이죠.


     

     

    🌱 다음에 바닷가에서 식물을 본다면

    그냥 “예쁜 들꽃이네~” 하고 지나치지 마세요.

    그 안에는 짠 바람과 강한 태양 아래에서 살아남기 위한 놀라운 진화가 담겨 있어요.

    그리고 그걸 카메라로 담는 우리는, 순간이지만 그 생명에 한 발짝 더 다가가는 셈이겠죠.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