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훼장식기능사 실기] 동양꽃꽂이화훼장식기능사 2025. 5. 3. 13:19반응형
동양꽃꽂이
직립형 (바로세우는형)
: 동양꽃꽂이의 모든 화형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나무 가지 모습에서 형태화
경사형 (기울이는형)
: 자연스러운 나뭇가지의 곡선을 나타내는 화형으로 부드럽고 경쾌한 스타일의 화형
- 동백 3본
- 장미 10본
- 스프레이국화 5본
- 팔손이 5본
* 선과 여백 강조
* 심상적 표현에 중심을 둠
* 3가지 각도와 위치에 따라 형태 구성
* 3가지 가지가 중심이 된 부등면 삼각형 구성
* 1주지(하늘), 2주지(땅), 3주지(인간)
* 요소 : 주지, 종지,꽃
* 꽃의 수는 1,3,5,7,9 홀수로 꽂는다.
* 주지 → 주지를 보충하는 종지 → 꽃 → 필러 순으로 꽂는다.
* 나무는 사선처리하여 꽂고 꽃은 반듯하게 1자로 잘라 꽂는다.
* 주지가 빈약하면 종지로 보강해준다.
(직립형)
* 1주지(가운데) : 화기 너비, 높이의 2배 , 기울기 0~15˚
* 2주지(왼쪽) : 1주지의 2/3 , 기울기 45˚
* 3주지(오른쪽,5시방향) : 2주지의 2/3 , 기울기 75˚
* 1주지는 약간 왼쪽을 바라보게 꽂는다.
* 2,3 주지가 1주지를 바라보는 듯하게 꽂는다.
* 1주지는 가장 굵고 가지가 많고 튼튼한 것으로 하되 나뭇가지 줄기(살)가 보이도록 가지 떼기
* 가지가 서로 겹치는 부분은 떼어 낸다.
(경사형)
* 1주지(왼쪽) : 화기 너비, 높이의 2배 , 기울기 0~15˚
* 2주지(가운데) : 1주지의 2/3 , 기울기 45˚
* 3주지(오늘쪽,5시방향) : 2주지의 2/3 , 기울기 75˚
* 직립형의 1주지와 2주지가 바뀐 형태
* 경사형은 침봉을 왼쪽으로 치우쳐서 놓는다.
직립형
물은 침봉위 1센티가량 올라오게 붓는다.
쳐진 팔손이는 물에 푹 담궈놓는다.
1주지 세우기-살짝 왼쪽을 보게 배치 (뒤에서 침 3개정도 앞쪽에 꽂는다.)
굵은 가지는 사선처리하고 가운데를 1자로 칼집 내준다.
2주지-똑바로 눌러끼운후 45도 기울이기
3주지-5시방향, 75도 기울이기
3주지는 기울였을때 수반에 닿음안됨
가는 가지는 굵은 다른 가지를(국화) 잘라 끼워주면 된다.
빈약한 곳에 종지 꽂기. 주지를 보완한단 느낌이 들게..
꽃은 사선처리X, 1자로 반듯하게 자른다. 끝선쪽에 오는 꽃은 봉오리 사용.
꽃은 꺽일수있으니 아래쪽 잡고 꽂는다. 1주지의 4/3 높이로 자른다. (너무 올라가지 않게)
2번째 꽃은 첫번째 꽃 머리보다 1마디 정도 아래
꽃3개가 각각 삼각형을 이루도록 꽂기. 홀수
경사형
침봉을 왼쪽으로 치우치게 놓는다.
반응형